뇌
운영체제 메모리 할당 알고리즘 본문
hole : 메모리에서 비어있는 공간
1. first-fit ( 최초 적합 )
메모리에서 탐색하는 hole 중에 해당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처음으로 찾았을 때, 그 hole 에 해당 프로세스를 할당한다.
- 속도가 빠름
- 간단
p | p | p | p | p | p | p |
↓
P | p | p | p | p | p | p | p |
2. best-fit ( 최적 적합 )
메모리에서 탐색하는 hole 중에 해당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 중에서 hole 에 프로세스를 할당했을 때, 그 hole 의 남은 공간이 가장 적은 hole 에 해당 프로세스를 할당한다.
- 외부 단편화가 가장 적음 -> 이용률 측면에서 좋음
- hole 의 남은 공간이 많으면 외부 단편화가 많이 일어난다 !
- worst-fit ( 최악 적합 ) 과 반대 사고
p | p | p | p | p | p | p |
↓
p | p | p | P | p | p | p | p |
3. worst-fit ( 최악 적합 )
메모리에서 탐색하는 hole 중에 해당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 중에서 hole 에 프로세스를 할당했을 때, 그 hole 의 남은 공간이 가장 많은 hole 에 해당 프로세스를 할당한다
- hole 의 남은 공간이 적으면 추가로 프로세스를 할당할 공간이 없어서 낭비다 !
- best-fit ( 최적 적합 ) 과 반대 사고
p | p | p | p | p | p | p |
↓
P | p | p | p | p | p | p | p |
'Layer 7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askinRobins31 - Stack Pivoting (0) | 2020.09.14 |
---|---|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(0) | 2020.09.10 |
[Pwnable] Codegate 2018 - BaskinRobins31 (0) | 2020.09.01 |
바이너리 분석 2 - RTL ( NX-bit bypass ) (0) | 2020.08.25 |
BOF 예제 분석 (0) | 2020.08.16 |
Comments